티스토리 뷰

아까 포스팅에서 오늘자 '사이언스'에 고려대 이진한 교수님 연구팀이 포항지진의 원인을 분석하였다고 말씀드렸죠?

같은 날 같은 학술지에 서울대 강봉균 교수님 연구팀도 다른 주제로 이름을 올렸습니다.

'기억 저장 시냅스'를 찾았다는 내용의 논문이었는데요,

시냅스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틈, 즉 뉴런의 연결고리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.

한 신경세포에는 대략 수천 개의 시냅스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,

'기억'이라는 것은 유형의 무언가가 아니기 때문에 어디에 저장되는지, 물리적인 무언가가 있는지에 대한 끊임없는 논쟁이 벌어지고 있었습니다. 그 논쟁은 약 7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요, 캐나다의 심리학자 '도널드 헵'이라는 분은 '기억'은 신경세포의 시냅스에 저장되며, 학습에 의한 시냅스의 변화가 기억의 물리적 실체이라고 하는 가설을 제시합니다. 현재까지도 이 가설이 지배적이라는 의견이 있지만 이는 정확히 확인되지 않은 가설이었죠.

하지만 이 가설의 증명을 우리나라 연구진이 해냈습니다!

서울대 강봉균 교수님 연구팀은 한 신경세포에 있는 수많은 시냅스들을 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.

이 기술의 이름은 'dual-eGRASP'입니다. 우리가 상식적으로 기억과 가장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는 뇌의 '해마'를 이 기술을 가지고

파헤친 것이죠. '해마'는 양쪽 측투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.

이 기술을 적용한 결과, 정말 도널드 헵의 가설처럼 뉴런 세포들간의 시냅스들이 학습에 의한 시냅스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.

자료: 서울대



이러한 연구결과가 미치는 파급력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되는데요,

기억이 어디에 저장되는지를 알아냈으니 기억 저장이나 전반적인 기억의 연구에 한 획을 그을 것이라고 생각되네요.

나중에는 정말 기억을 컴퓨터처럼 백업하거나 질병으로 기억을 잃은 사람에게 기억을 되찾아줄 수도 있지 않을까요?

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