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대 국어 시기: 삼국 시대 ~ 통일 신라 차자(借字) 표기법 차자(借字)란? 문자(字)를 빌려서(借) 말을 나타내는 방법 사용했던 이유: 우리나라 사람들간의 언어는 통하던 시대였지만 그 언어를 글로 표현할 수단이 없었기 때문에 중국의 한자를 빌려서 사용했다 1. 고유명사 표기 훈차/음차 훈차는 뜻을 빌려서 음차는 음을 빌려서 사용하는데, 한자는 뫼 산(山), 내 천(川) 처럼 훈과 음으로 이루어져 있다. 가장 많이 사용되는 예시는 옛날 삼국시대에 살았다고 문서에 남아있는 '쇠내' 혹은 '소나'라는 사람인데, 한자로는 소나(素那), 쇠내(金川) 라고 하는데 한 눈에 보면 이렇게 표현할 수 있다. 이는 고유명사에만 해당이 되었으며, 문장을 표현할 때는 더 다양한 표기법을 사용했다. 2. 서기체 한문을 우리..
공부/국어 문법
2018. 4. 28. 18:33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무료코딩
- 아메리칸쇼트헤어
- 원시지구
- 아이
- 고1
- 고대 국어
- 유행성 이하선염
- 브리티쉬쇼트헤어
- 코딩교육
- 고등 국어
- 외권
- 중세 국어
- 유발지진
- 지권
- 애완동물
- 고양이
- 생물권
- 북일
- 분양
- 브리티쉬숏헤어
- 수능 연기
- 브숏
- 지구과학
- 차자
- 코리안 쇼트헤어
- 반려동물
- 입양
- 국어
- 지진 보상금
- 생명가능지대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