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1. 지하자원; 인간에게 유용하고 가치 있는 물질 및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 중 땅 속에서 채취 가능한 것.

   지하자원의 종류

(1) 에너지 자원

- 인류의 생활과 경제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자원

(2) 금속 광물

- 금속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 자원. 제련과정이 필요함.

(3) 비금속 광물

- 비금속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광물 자원. 별도의 제련과정을 거치지 않음.


2. 광상; 생활에 유용한 광물이 지각 내에 응집된 것

(1) 화성(마그마) 광상: 백금, 크롬, 금강석, 철, 금, 구리 등

(2) 퇴적 광상: 사금, 금강석, 고령토, 석회석 등

(3) 변성 광상: 흑연, 활석, 석면 등


3. 광상의 개발과정

(1) 탐광: 지질 조사, 물리적인 방법으로 광상을 탐지하여 유용한 광물의 존재를 확인하고 시추 등의 방법으로 조사한다.

(2) 채광: 실제로 발견한 광상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광물을 채굴한다.

(3) 선광: 채굴된 광물들을 특정 기준으로 분류한다.

(4) 제련: 금속 광물에만 해당되며, 녹이고 가공하며 불순물을 제거해 순도를 높인다.


4. 주요 광물 자원의 이용

금속 광물

이용 

비금속 광물 

이용 

알루미늄 

합금, 비행기, 건축재료 

점토광물 

종이, 도자기, 내화벽돌 

철 

강철, 기계, 건축자재 

규사 

유리 및 반도체 산업 

망가니즈 

강철, 합금, 의약품 

유황 

화학공업 

금 

보석, 치과재료, 화폐, 전자제품 

형석 

알루미늄 제련, 의약품 

납 

도료, 전지, 휘발유 첨가제 

석회석 

시멘트, 제철, 화학공업 

보석, 사진재료, 식기 

고령토 

종이, 도자기, 내화벽돌 


5. 토양의 생성

- 토양은 암석이 풍화 작용을 받아 생성되며, 토양의 성분은 기반암의 종류, 기후, 식생 등에 따라 달라진다.

(1) 토양의 생성과정

- 기반암 -> 모질물 -> 표토 -> 심토

- 기반암은 말 그대로 기반이 되는 암석이다.

- 모질물은 기반암이 풍화로 인해 떨어져 나오는 돌조각이나 모래가 모인 층이다.

- 표토는 모질물이 더 잘게 풍화되고 생명체의 생명활동으로 죽은 생물체의 분해된 유기물과 광물질이 혼합된 층으로, 

   가장 표면에 있기 때문에 생명체의 활동이 가장 활발하다.

- 심토는 표토에 비가 내리는 등의 작용으로 상대적으로 무거운 산화 철, 점토 광물 등이 밑으로 침전되어 생성되는 층이다.


6. 토양의 유실

- 시간이 지남에 따라 표면의 표토가 깎이고 쓸려나가면 토양의 안정도가 낮아지고, 생물체가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.

- 인간의 삼림 벌채, 산업 활동으로 토양 유실 속도가 가속화되는 상황이다.

- 방지 대책: 사방댐, 계단식 논, 윤작


7. 토양의 산성화

- 산업활동 등으로 인해 중금속이 함유된 산성비가 내리면 토양의 pH가 낮아져 생물이 살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.

- 공장, 배기가스, 화학비료 등이 원인.

- 방지 대책: 천연 비료, 탈황장치(공장에 설치), 자동차 사용 감소



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